
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확산세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, 재택치료 중이던 영유아가 잇따라 숨지면서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 전국 위치가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.
24일 기준 10세 미만 확진자는 2만4425명으로 전체 확진자의 14.37%를 차지 할 정도로 그 수치는 시간이 거듭될수록 증가하고 있는 추이입니다.
게다가 소아 확진자의 경우 성인과 다르게 심각한 상황과 후유증이 발생될 수 있는데, 가장 큰 원인은 응급상황에서 의료처치를 제대로 받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 보건복지부 장관의 언급이기도 합니다.
국내 소아 전담 상담센터는 11곳이며, 소아 ~ 청소년 진료가 가능한 상담센터는 95곳 입니다. 특히 소아전담상담센터는 기존 8곳에서 2021년 10월에 3곳을 추가 선정하면서 11곳인 것을 고려했을 때 지역 의료 불균형은 시간이 거듭될수록 더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있습니다.
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 전국 위치 안내
구분 | 응급의료 권역 | 시도 | 시군구 | 의료기관명 | 비고 |
소아전문 응급의료센터 운영병원 | 서울서북 | 서울 | 종로구 | 서울대학교병원 | 상급종합병원 (권역응급의료센터) |
– | 서울서북 | 서울 | 서대문구 | 연세대학교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| – |
– | 서울동남 | 서울 | 송파구 | 서울아산병원 | – |
– | 인천 | 인천 | 남동구 | 가천대길병원 | – |
– | 경기동남 | 경기 | 성남시 | 분당차병원 | – |
– | 충남천안 | 충남 | 천안시 | 순천향대천안병원 | – |
– | 대구 | 대구 | 북구 | 칠곡경북대학교병원 | – |
– | 부산 | 경남 | 양산시 | 양산부산대학교병원 | – |
소아전용 응급실 운영병원 | 서울서남 | 서울 | 양천구 | 이대목동병원 | – |
상동 | 경기서북 | 경기 | 고양시 | 일산명지병원 | – |
상동 | 울산 | 울산 | 동구 | 울산대학교병원 | – |
개학이 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,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 운영 병원을 지정하기 위해서는 시설, 인력 등 지정기준을 갖춰야지만 가능하기 때문에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.
백신 불안감, 재택치료 중인 아이들은 오늘도 불안감을 떨고 있을 것입니다. 하루 빨리 방역당국은 조속한 영유아 재택치료 정책을 펼쳐야 할 것 입니다.
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.